전자제품

로봇청소기 장단점 요약하기

나비는장미에 2019. 11. 18. 16:07
반응형

불과 몇년전만해도 로봇청소기라는 제품은 시장에 나오지 않았습니다. 단순히 가볍고 파워가 강한 청소기만이 시장을 점령하고 있었는데요, 언제부터인가 ai기술이 발전하면서 하나둘씩 제품들이 스마트해지기 시작했습니다.


각종 제품들이 사물인터넷에 적용되어 말을 하고 사람이 말로 명령을 내리는 시스템이 들어가기 시작했는데요, 이후 청소기에도 ai바람이 불면서 자동으로 청소를 하는 로봇청소기가 등장했습니다. 로봇청소기는 처음 출시당시 엄청난 구매율을 보이며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었는데요, 아쉽게도 초반 제품의 성능이 좋지 않아 소비자들이 오히려 등을 돌렸습니다.


하지만 요즘 나오는 로봇청소기는 여러가지 기능들이 업데이트되어 단점들을 보완했는데요, 그래도 여전히 단점은 존재한다고합니다. 아직 로봇청소기를 사려고 계획하시는 분들은 지금부터 정리해드리는 로봇청소기의 장점과 단점을 잘 파악해보시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1. 단점


로봇청소기를 사지말라고 설득한다면 먼저 일반 청소기에 비해 흡입력이 떨어진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이것은 당연하다고 할수도 있는데요, 크기도 작고 애초에 작은 제품에 고성능의 모터가 들어가는게 아직은 불가능하기 때문일수도 있습니다.


가벼운 머리카락이나 먼지는 빨아들이지만 일부 큰 이물질이나 알갱이들은 흡수하지 못하고 그대로 바닥을 굴러다니게 됩니다.


두번째는 이동성입니다. 오히려 로봇청소기의 장점이 이동성이어야 하는데 왜 단점이냐구요? 아직도 로봇청소기는 제 갈길을 잘 못찾고 헤메는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한국의 집 구조상 어쩔수 없다고도 할 수 있는데요, 장애물을 몇개 비켜가지만 그것이 고작입니다.


아직도 작은 집의 경우 로봇청소기를 사용하기에는 성능이 따라주지못합니다. 40평이상 혹은 30평이상의 공간이 되어야만 로봇청소기가 제대로 활동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세번째는 로봇청소기 자체에 먼지가 붙어 집안 곳곳을 오히려 먼지 투성이로 만든다는것입니다. 물론 사람의 눈에는 자세히 안보이지만 애초에 로봇청소기에 먼지가 붙어있으니 이건 당연한 얘기가 아닌가 싶네요.


2. 장점


그렇다면 반대로 로봇청소기를 사야할 이유는 뭐가 있을까요? 앞서 말한 단점들이 조금 개선된 것이라 할 수 있는데, 흡입력이 증가하였고 이동성이 대폭 개선되었습니다. 요즘 나오는 제품들의 레이저는 동서남북이 아닌 수십개의 레이저가 들어있어 장애물은 물론 카페트도 파악한다고합니다.


두번째는 먼지가 붙어있는 모서리부분을 해결했다는것인데요, 브러시가 넓어지면서 미세한 먼지들이 더이상 붙어있지 않고 자연스레 빨려들어간다고합니다. 그리고 세번째는 로봇청소기의 부피가 커지면서 먼지통도 넓어져 이제 자주 비울 필요가 없습니다.


어떠신가요? 로봇청소기를 사야할지 말아야할지 결정이 되셨나요? 사실 가장 중요한것은 로봇청소기가 최대효율을 발휘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지부터 먼저 파악해야한다는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무용지물이 되는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