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미있는것들 13

스티어링의 원리와 종류를 알아보자.

스티어링은 운전자가 핸들로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해주는 조향장치라고 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을 돌려서 기어를 작동하게 되고 바퀴가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유기적인 연결고리는 스티어링 휠로 인해서 시작된다. 이것은 사람이 핸들을 작동하게 되지만 전기모터의 힘이나 다른 힘이 작동되기도 한다. 스티어링 기본원리는 조향장치의 애커맨 지오메트리에서 온다. 킹핀축을 중심으로 너클과 타이로드를 이용하여 링크기구를 연결시켜 각도를 회전시키게 된다. 접선방향에 가까워지면 차량의 코너링이 보다 부드럽고 회전차이가 심하지 않다. 타이거가 끌리는 현상또한 링크기구를 통해 줄어들었다. 애커맨 지오메트리를 구현하는 요소는 랙엔피니언 타입과 웜기어박스 타입이 있다. 이것을 구동하는 조항력은 사람이 직접하지만 수단에서 차이가 발..

흥미있는것들 2019.04.18

로터스 엘란의 역사와 개발 배경의 진실

로터스 엘란은 1세대, 2세대, 3세대까지 진출하게 되었는데 1962년에 시작되어 1975년에 1세대가 마감되었고 2세대는 1989년에 시작되고 1995년에 중단되었다. 로터스엘란은 영국의 자동차 제조사에서 생산한 로드스터이다. 1세대는 경량화된 로드스터로 4번에 걸쳐 만들게 되었다. 켄트엔진을 개량하여 트윈캠 엔진과 백본 프레임,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디와 같은 기술이 합쳐져 있다. 경량 로드스터는 새로운 기준점을 제시하였으며 이후 로드스터 모델들은 로터스 엘란을 통해 만들게 되었다. 로터스 엘란은 클래식카로 현재 시세로 5천만원에 가깝다. 클래식카는 오래되었지만 실용성보다는 희소성에 가까워 차량의 수리비를 그대로 부르는것이 차값이라고 할 수 있다. 2세대는 GM의 산하에 들어가면서 컴포넌트를 사용하게 되..

흥미있는것들 2019.04.18

프리우스의 역사는 프로토 타입으로 시작한다.

한국에서 싫어하는 일본에서 생산되는 차가 바로 요즘의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생산하고 있는 토요타다. 세계최초의 하이브리드 승용차를 개발한곳으로 이것을 기점으로 만든 차량이 프리우스다. 첫 등장시 유가가 크게 높지는 않았지만 프로토타입을 만들면서 21세기에 유가가 오르면서 판매가 급증했다. 유가가 오를때 토요타의 판매율은 하늘을 찔렀고 미국에서만 100만대 이상을 판매했다. 한국에서도 친환경 동력에 관심을 가지면서 프리우스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있다. 한국은 신연비 기준으로 프리우스가 21km/l연비를 기록함에 따라 지속적인 보조금 정책을 펼치고 있다. 토요타는 일부 하이브리드 방식이 아닌 풀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저속에서는 전기모터로만 구동하게 되는 형식을 갖추고 있다. 저속에서는 진동이나 소음이 거의..

흥미있는것들 2019.04.18

최고급 럭셔리카 부가티 베이론의 정보

2005년에 출시되어 명실공히 최고급 럭셔리카로 자리매김한 부가티 베이론. 많은 사람들이 이 초고가의 차량에 대해 궁금해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는 삼성의 회장인 이건희가 소요한 것으로 알려져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또한 부가티 베이론은 양산형 차량 중 최초로 400km/h를 넘은 것으로도 유명한데요. 부가티 베이론의 최고속도는 407km/h입니다. 또한 마력은 1,001마력이고 최대 토크는 무려 127.6kgh.m에 달하는데요. 천마력은 러시아의 T-80전차의 초기형과 비교가 가능할 정도로 어마어마한 마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폭스바겐의 산하 브랜드 중 하나로 폭스바겐은 람보르기니, 벤틀리, 포르쉐 등을 소유하고 있는 최대 자동차 그룹이라 할 수 있습니다. 부가티 베이론에 들어간 엔진은 정말 특별하다 할..

흥미있는것들 2019.03.28

지포스 그래픽 카드 어떻게 구분되는걸까?

컴퓨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부품인 그래픽 카드. 특히 그래픽 카드는 게임이나 오토캐드나 3D 모델링 등 고성능 작업을 수행할 때 중요한 부품이라 할 수 있는데요. 그래픽 카드는 수많은 제품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제품이 바로 지포스 그래픽 카드입니다. 지포스는 엔비디아가 설계한 개인용 컴퓨터의 그래픽 카드인데요. 최초에는 온전히 게임을 위해 제작되었으나 현재는 그 영역을 무한히 넓혀가고 있습니다. 이 지포스는 이름을 보면 대충 성능을 짐작할 수 있게 지어져 있는 것으로도 유명한데요. 때문에 이름 보는 법만 알고 있다면 대충 성능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우선 지포스 5 시리즈 ~ 지포스 10 시리즈를 보면 000 ~ 400까지는 보급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64비트 혹은 128비트를..

흥미있는것들 2019.03.28

집성목의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인테리어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목재중 하나인 집성목은 나무를 작고 일정한 형태로 절단한 것을 말하는데 이것을 접착제로 이어 붙혀서 만든것을 집성목이라한다. 영어로 'edge glued panel'이라고 표기한다. 보통 원목을 많이 사용하는데 원목은 기존의 나무를 그대로 가져와서 사용하기 때문에 단가가 높게 책정된다. 원목을 사용할때는 납작하거나 세로로 길게 만들어서 판재로 사용하는데 가구를 만들때 많이 사용한다. 무게가 무거운것이 특징이며 가격이 다른 목재에 비해 매우 높다. 하지만 MDF는 나무가루를 접착제와 섞어서 만들기 때문에 원목에 비해 저렴하고 내구성이 약하다 물론 저렴하다는 것이 큰 장점이지만 신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독극물인 포름알데히드가 방출되어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비싼 접착제를 사용한다..

흥미있는것들 2019.03.28

수평대향 엔진의 원리를 자세하게 알아보자.

실린더의 배치는 마주보며 수평으로 하게되는데 보통의 엔진이라면 실린더를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하지만 실린더를 좌우로 움직여 동력을 얻는것이 바로 수평대향 엔진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두 실린더가 좌우에서 크로스하는 형태로 복서엔진이라 부르기도 한다. 복서엔진은 수평대향 엔진과 닮은점이 많다. 특유의 실린더로 불리는 수평대향 엔진은 윤활문제가 지적되어 중력문제까지 수면위로 떠오르면서 엔진 실린더 내구성이 약하다는 연구결과를 얻게된다. 개발 당시 엔진의 편마모 현상이 심해 내구도에 문제가 있다는걸 발견했다고 한다. 하지만 연구를 계속하여 실린더에 대한 문제는 해결했지만 실린더 자체의 중력을 해결하진 못했다고 한다. 엔진의 무게가 낮아 안정적인 면도 있으나 좌우 공간을 많이 차지함으로써 다른 기관을 사용하..

흥미있는것들 2019.03.28

인테리어의 바닥재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인테리어는 건축이나 디자인에서 활용되는 단어로 영어로는 내부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또 다른 말로는 실내장식이라고 할 수 있는데 건물이나 아파트 내부의 공간을 새롭게 디자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을 실내장식이라 하는데 다른말로 인테리어 디자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건물의 분위기를 변화시킬때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인테리어는 단순히 실내장식을 바꾸는 것을 말하는것이 아니다. 여러곳의 매장을 완전히 다른 형태로 바꿀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인테리어의 반대말은 익스테리어라고도 한다. 인테리어는 가전제품, 침대, 조명, 벽지, 바닥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요소들이 모이면 인테리어가 되는데 조명의 경우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내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뽑히며 강한 빛으로 간접조명과 같은 역할을 한다 보통..

흥미있는것들 2019.03.27

인테리어 디자인의 역사는 어디서부터 일까

인테리어 디자인은 역사적 사실을 담고 있다. 순수미술부터 장식 및 경제, 사회를 포함한 다양한 요소를 지니고 있다. 19세기말 인테리어 디잔인에 영향을 준것은 바로 개혁운동이다. 개혁운동은 영국을 시작으로 20세기까지 영향을 미치게되었다. 예술공예운동은 건축가들과 화가들이 함께 시작하였으며 건물의 외부와 내부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이것은 아르누보 건축가가 디자인에 다양한 장식을 가미하면서 시작되었다. 아르누보 양식은 예술의 시작이라고 할만큼 자연스럽다. 건축가와 예술가, 조각가가 이러한 요소를 모방하여 다른 균형을 이루었을 정도이다. 현재 디자인들은 이러한 요소를 바탕으로 재구성되었다고 본다. 고전의 귀족정신이 이러한 디자인의 요소에 큰 영향을 미쳤고 공간을 차지하는 스타일이 아파트에 적용되었다. ..

흥미있는것들 2019.03.27

목재의 종류를 자세하게 파악해보자.

목재에는 매우 다양한 나무들이 사용되고 있다. 참나무, 물푸레나무, 호두나무, 자작나무, 오리나무등 다양한 나무들이 벌채되어 사용되고 있다. 목재를 가공하게 되면 집성목으로 분류하는데 솔리드 집성과 핑거조인트 집성이라한다. 합판으로 분류되는것은 미송이나 자작나무, 코아, 테고로 나눌 수 있다. 원목은 Solid Wood라고 불리며 단어의 뜻을 그대로 풀어보면 꽉 찬 나무라고 말할 수 있다. 속이 비어있지 않고 튼튼한 나무를 뜻한다. 원목은 통나무를 벌목하여 만들게 되는데 이것을 적당한 두께로 다시 재단하여 원목의 특성을 살리게 된다. 원목은 뒤틀림이나 수축, 팽창이 되기 때문에 가구에 사용되지만 이로인해 불만을 품게되는 소비자도 많다. 속이 꽉 찬 나무로 튼튼하지만 반대로 수축과 뒤틀림으로 인해 내구성이..

흥미있는것들 2019.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