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는 가장 많은 이들이 하는 제태크 방법이지만 다양한 요인에 의해 시장이 요동치는 특성으로 인하여 투자자들의 심리가 크게 흔들려 실패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 흠인데요. 이런 투자심리를 지키기위해서는 투자원칙을 지켜야합니다.
투자원칙을 세울 때는 가치투자와 자산배분전략을 기반으로 하여 투자원칙을 세우는 것이 좋은데요.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개인투자자의 거의 대다수가 자신의 막연함 직관에 의존해 투자를 하는데요.
이런 직관에 의한 투자는 막연한 기준으로 인해 주식 시장이 크게 흔들리게 되면 쉽게 무너지게 됩니다. 그래서 크게 손실한 종목을 평생 들고 가거나 크게 상승할 종목의 수익을 확정하는 등 다양한 실수들을 하게 됩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자신의 투자성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는데 투자성향에 맞는 전략을 짜야 투자심리가 흔들리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투자전략은 크게 2가지가 있는데 바로 모멘텀 투자와 가치투자입니다.
모멘텀 투자는 주가 추세에 따라 그 추세를 최대한 활용하여 이익을 보는 전략이고 가치투자는 주가의 추세보다는 회사 가치대비하여 평가가 낮은 편인지 높은 편인지를 판단하여 투자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이 투자전략과 함께 하는 자산배분은 위 전략들의 상위 개념으로 모멘텀 투자라면 시그널에 맞추어 100% 주식보유하고 매도현금화를 100% 가져가는 등의 극단적인 전략을 짤 수도 있습니다.
이런 면으로 인해 모멘텀 투자는 공격적인 성향을 띄는데요. 그래서 모멘텀 전략은 다이나믹하고 활발하며 공격적인 성향의 투자자들에게 알맞은 방식입니다. 한때는 국민의 대다수가 사용했을 정도로 유행했습니다.
가치투자는 상대적으로 성격이 차분한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방식인데요. 적정한 가치보다 저평가된 주가로 들어오는 종목을 매수하여 규칙을 지켜 매수하고 매도하여 포트폴리오를 교체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여 투자전략을 세웠다면 이제 세금에 대해서도 공부를 해야 하는데요. 주식 거래를 할 때는 매도가격의 0.3%에 해당하는 증권거래세가 필수로 붙게 됩니다. 증권거래세는 주식을 팔 대 해당 주식의 양도가액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실제로 거래한 가액을 뜻하는데요.
코스피, 코스닥은 0.25%의 양도거래세가 붙고 코넥스는 0.1%의 세금이 한국장외 주식시장은 0.25%의 거래세가 붙게 됩니다. 이 증권거래세율은 법률 개정 사항으로 최근에 추진된 사항인데요. 미, 중 무역전쟁과 일본의 수출 규제와 국내 경기 침체와 같은 요인들도 인해 트자 환경을 개선하려는 정부의 노력이라 볼 수도 있습니다.
주식에서 기업이 한 해 동안 이익금을 주식을 가진 사람들에게 소유 지분에 따라 이익을 배분하는 것을 배당이라 하는데요. 주식회사는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이 주 목적으로 이 권리는 주주들에게만 속하게 됩니다
'주식초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자의 성향 & MACD (0) | 2021.02.22 |
---|---|
주식 기본용어와 종목선별 (0) | 2020.12.15 |
자사주매입과 핵심사항이란? (0) | 2020.12.15 |
기업의 형태와 경계해야할 심리오류 (0) | 2020.10.15 |
채권의 특징과 안전마진 (0) | 2020.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