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하며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꼭 지켜야할 매매 원칙이 몇가지 존재하는데요. 매매 원칙이 필요한 이유는 주식이란 1:1 거래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매도자가 많은데 매수자 1인일 경우 매도자는 1인인데 매수가는 많을 경우 다른 상대와 경쟁은 필수이기 때문이죠.
가격우선 원칙
가장 먼저 소개할 매매 원칙은 가격우선 원칙인데요. 이름 그대로 매수자일 경우 가장 비싸게 사려는 사람이, 매도자일 경우 가장 싸게 팔려는 사람이 우선 쳬결되는 것을 뜻합니다. 때ㅜㅁㄴ에 가격우선 원칙에서 매수주문이 빨리 체결되기 위해선 매수가를 높게 불러야 하죠.
시간우선 원칙
예를 들어 여러명의 매수자가 같은 가격으로 주문을 걸었을 때 시간상 먼저 주문한 사람을 우선적으로 체결하는 것이 바로 시간우선 원칙인데요. 주가가 급변하는 상황에선 초 단위로 희비가 엇갈리기 때문에 스피드가 생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수량우선 원칙
다시 한번 가정해서 매수자가 제시하는 가격이 같고 주문 시간마저 동일 하다면 어떤 매수자의 거래가 체결될까요? 이름 그대로 수량 즉, 더 많은 수량을 주문한 매수자가 더 먼저, 더 많이 배정받는 원칙입니다. 그러니 소량주문보단 대량주문을 하는 것이 유리하죠.
위탁자우선 원칙
증권사에는 2가지의 계정이 존재하는데요. 각각 고객계정과 증권사가 직접 자본을 투자하는 자기 계정입니다. 만약 가격이 같고 주문 시간과 수량 또한 동일할 경우에는 증권사가 직접 운영하는 자기 계정보단 고객 계정인 위탁자 계정의 주문이 우선적으로 체결되는 원칙이죠.
이 커다란 4개의 매매 원칙과 함께 살펴봐야 하는 것이 바로 원자재 가격인데요. 그 이유는 우리나라가 해외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무척이나 높고 자원이 부족하다는 특이성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는데요.
이렇게 원자재 가격에 변동이 생겼을 때 중요한 점은 바로 기업의 제조원가 상승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여 소비자와 얼마나 부담을 나눌지에 따라 기업의 수익이 달라진 다는 사실입니다. 때문에 일반적으로 원재재 가격이 상승할 경우 제조원가도 상승하고 이것은 기업 수익성에 악화를 일으켜 주가 하락의 원인이 되죠.
반대로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면 제조원가도 하락하게 되고 기업 수익성이 호전되어 주가는 상승하게 됩니다. 이렇게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원자재 가격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첫번째는 원자재 수요공급 동향인데요. 원자재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원자재 가격은 상승하고 이는 세계경제의 성장을 지속을 뜻합니다. 그러니 세계경제가 활황이라면 수많은 기업들이 원자재를 찾게 되고 그에 따라 원자재의 가격은 상승하게 되죠. 반대로 세계경제가 불활이라면 원자재 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
두번째는 달러화의 가치인데요. 이는 원자재의 결제가 달러로 이루어지기 때문이죠. 그래서 달러화의 가치가 상승하냐 하락하냐는 원자재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요. 특히 달러의 발행규모가 늘어날 경우에도 달러 가치가 희석되기 때문에 언자재 가격을 하락하게 됩니다.
세번째는 지정학적 위험이빈다. 이는 지역별 긴장관계를 뜻하는데요. 만약 중동지방에 전쟁이 발발할 경우 유조선의 움직임은 줄어들게 되고 당연히 원유의 공급이 줄어들면서 원자재의 가격을 상승하게 됩니다.
네번째는 환율인데요. 만약 환율이 상승한다고 가정하면 원화의 가치는 떨어지게 되고 이는 상대적으로 수입 원자재 가격의 상승을 야기하게 됩니다. 반대로 환율이 하락할 경우 원화는 강세를 보이며 상대적으로 수입 원자재의 가격은 하락하게 되죠.
'주식초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에 중요한 6가지 범주 (0) | 2020.10.14 |
---|---|
인플레이션의 영향력과 수익성비율 (0) | 2020.08.31 |
증권사 선택과 이익가치 높은 종목 찾는법 (0) | 2020.08.19 |
주식의 기술적 분석을 위하여 (0) | 2020.08.17 |
패턴과 이론으로 주식 파해치기 (0) | 2020.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