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미있는것들

인테리어의 바닥재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나비는장미에 2019. 3. 27. 11:54
반응형

인테리어는 건축이나 디자인에서 활용되는 단어로 영어로는 내부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또 다른 말로는 실내장식이라고 할 수 있는데 건물이나 아파트 내부의 공간을 새롭게 디자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을 실내장식이라 하는데 다른말로 인테리어 디자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건물의 분위기를 변화시킬때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인테리어는 단순히 실내장식을 바꾸는 것을 말하는것이 아니다. 여러곳의 매장을 완전히 다른 형태로 바꿀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인테리어의 반대말은 익스테리어라고도 한다. 인테리어는 가전제품, 침대, 조명, 벽지, 바닥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요소들이 모이면 인테리어가 되는데 조명의 경우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내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뽑히며 강한 빛으로 간접조명과 같은 역할을 한다 보통 아파트나 신축건물에 많이 사용되며 밝기가 생각보다 낮아 좋은 조명은 아니다.


최근에는 어두운것 보다 밝은 것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조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인테리어의 핵심은 사람들이 보지 않는 바닥재에 있다. 바닥재는 장판, 원목마루, 온돌마루, 합판마루등이 있다. 매장에 따라 타일을 깔거나 카펫으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다..


바닥재중 하나인 장판은 발에 눌러붙거나 청소기를 사용할때 따라 붙게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뜨거운 열을 받으면 화재에 대한 위험도 높아 주의해야 하는 부분도 크다. 하지만 충격에 매우 강하기 때문에 무거운것을 떨어뜨리더라도 파손될 위험이 적다.


게다가 난방의 효과가 높아 가스비가 적게나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당 10만원 남짓한 시공비로 저렴하여 옛날 장판을 선호하는 소비자들도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장판을 사용하는 곳은 거의 없으며 최근 지어지는 빌라나 아파트의 경우 무조건 마루로 시공하고 있다.


마루는 대부분 강화마루로 장판보다 충격에도 약하여 흡수를 하지 못한다 이로인해 층간소음이 시작되고 사람이 다치는 경우도 많다. 강화마루는 강한열에 약하여 흔적도 남고 습기에 약하여 물을 장시간 쏟을 경우 비틀어지거나 마루가 상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동용 가구를 움직이다 보면 소음이 심하고 이것은 다른 세대들에 영향을 그대로 미치게 된다. 장판과 달리 난방에도 약하여 점점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단, 오피스텔과 같은 투자를 목적으로 하고 있는곳에는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강화마루는 강마루와 성질이 다른데 온돌마루와 합판을 이용해서 만든다. 강화마루의 경우 톱밥을 압축하고 MDF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게 된다. 강마루는 강화마루와 다르게 충격흡수를 잘하여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단, 내구성이 약하여 강마루를 시공할경우 소비자들의 불만지수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