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의 발달로 컴퓨터의 저장매체는 빠르게 발전해왔는데요. 초기에 몇메가도 안되는 플로피디스켓에서 700메가 정도 하는 CD로 거기서 기가 단위의 용량을 보여주며 휴대성도 보유한 USB가 나오며 플로피 디스켓과 CD는 빠르게 시장에서 물러나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USB와 함께 외장하드가 새로운 저장매체로 주목받고 있는데요. USB보다는 크기가 크지만 저장용량이 테라단위 까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초기에 외장하드가 나올 때만 해도 노트북용 저장장치로 많이 사용되었는데요. 하지만 USB의 등장에 힘입어 전원문제가 해결되어 외장하드는 노트북용 저장매체에서 휴대용 하드디스크로 사용법이 바뀌게 됩니다.
이런 외장하드를 잘 사용하기 위해서는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고 있는 것이 중요한데요. 우선 외장하드의 장점은 간편한 사용법입니다. USB와 비슷하게 포트를 컴퓨터나 노트북에 연결하기만 하면 되는데요. 그럼 컴퓨터와 노트북에서 자동으로 외장하드를 인식하여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음으로는 가격을 꼽을 수 있는뎅 USB로 테라 단위의 용량을 소화하기 위해서는 꽤나 많은 금액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외장하드는 1TB 짜리 메이커 제품이 8만원 이상을 잘 넘기지 않는데요. 일부 제품들은 5 ~ 6만원 정도의 가격을 선보이고 있어 가성비가 뛰어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다음 장점은 가격, 휴대성과 함께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데요. 바로 안정적으로 데이터 보관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부주의로 인한 바이러스나 외부 충격을 제외하면 거의 반영구적으로 데이터의 보관이 가능한데요. USB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 저장된 데이터의 보증기간이 길지 못하며 특히 TLC의 일반화로 인해 USB를 사용하는 도중 데이터가 날아가는 경우도 있기에 외장하드는 데이터 저장장치로 더욱 인기를 얻게 되었습니다.
또 다른 장점은 바로 속도가 빠르다는 것인데요. SSD보다는 비록 속도가 떨어지지만 5~20MB/s의 속도를 보여주는 USB와 비교하여 외장하드는 150~200MB/s의 속도를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물론 외장하드의 대부분이 HDD로 되어있기 때문에 KB~MB사이의 파일 수십만개를 전송할 경우 USB와 비슷한 속도를 보이기에 주의해야합니다.
단점은 바로 충격에 매우 약하다는 점인데요. 외부 충격이 조금만 가해져도 고장이 날 수 있기 때문에 취급할 때 주의를 요합니다. 만약 자주 떨어뜨리거나 하게 되면 3년도 채 쓰지 못하고 고장이 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때문에 팁을 드리자면 대다수의 메이커 외장하드가 3년 A/S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외장하드 A/S의 경우 100% 신품 교환이기 때문인데요. 물론 데이터를 지키기 위해서는 미리미리 백업을 해두어야 겠습니다.
또한 크기가 크면 전력 소모량이 높아 결국 휴대성이 떨어지게 되는데요. 이는 전원 공급 어댑터가 필요해지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스마트폰과 태블릿 컴퓨터와 데이터를 연동하기 위해서는 OTG 케이블선이 필요한데요. 이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선 외장하드가 출시되었지만 40 ~ 50만원대의 높은 가격을 자랑하기에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흥미있는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테리어의 바닥재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0) | 2019.03.27 |
---|---|
인테리어 디자인의 역사는 어디서부터 일까 (0) | 2019.03.27 |
목재의 종류를 자세하게 파악해보자. (0) | 2019.03.27 |
실내공기를 위해 스투키와 스파티필룸을 키워보자 (0) | 2019.03.26 |
롤스로이스 팬텀에 대한 모든 것 (0) | 2019.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