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의 종류를 자세하게 파악해보자.
목재에는 매우 다양한 나무들이 사용되고 있다. 참나무, 물푸레나무, 호두나무, 자작나무, 오리나무등 다양한 나무들이 벌채되어 사용되고 있다. 목재를 가공하게 되면 집성목으로 분류하는데 솔리드 집성과 핑거조인트 집성이라한다. 합판으로 분류되는것은 미송이나 자작나무, 코아, 테고로 나눌 수 있다.
원목은 Solid Wood라고 불리며 단어의 뜻을 그대로 풀어보면 꽉 찬 나무라고 말할 수 있다. 속이 비어있지 않고 튼튼한 나무를 뜻한다. 원목은 통나무를 벌목하여 만들게 되는데 이것을 적당한 두께로 다시 재단하여 원목의 특성을 살리게 된다.
원목은 뒤틀림이나 수축, 팽창이 되기 때문에 가구에 사용되지만 이로인해 불만을 품게되는 소비자도 많다. 속이 꽉 찬 나무로 튼튼하지만 반대로 수축과 뒤틀림으로 인해 내구성이 약하다고도 할 수 있다. 반면에 높은 질감과 수려한 무늬는 이것을 대체하는데 충분한 면도 있다.
자연스러운 가구를 표현할 수는 있지만 내구성적인 부분에서는 약하기 때문에 호불호가 갈리는 목재라 할 수 있다. 화학적인 작업이 없는 만큼 인체에는 무해하고 유해성도 없는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원목은 넓거나 좁은 형태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집성목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원목가구라고 하는 가구도 대부분 100% 원목이 아닌 부분 원목이라고 할 수 있다. 집성목을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그래서 가구가 큰 뒤틀림이나 수축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집성목은 가구나 책상에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무늬가 균일하지 않아 미적 감각은 감소된다. 하지만 집성목도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나뉘게 된다. 핑거조인트의 경우 솔리드로 집성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결이 톱니바퀴 형태로 되어 조각을 맞추는 듯한 형태로 나오게 된다.
또 다른 집성목은 옹이나 구멍등의 품질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어 저렴한 조립식 가구를 만들때 사용하며 보다 좋은 효율을 위해 앞서 말한 톱니바퀴 식으로 공정을 하기도 한다.
솔리드는 원형태 일자형태를 말하여 사이드핑거와 탑핑거는 톱니바퀴 형태라고 보면 구별하기 쉽다. 집성목은 두께도 조절할 수 있어 원목에 비해 여러가지 장점이 있는데 접합방식도 다양해서 원목보다 오히려 선호도가 높다고 한다. 집성목에는 종류도 여러가지가 있다.
미송, 오크집, 멀바우집, 레드파인, 삼나무, 스프러스, 대나무등 다양한 집성목이 있다.
MDF와 PB는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다. PB의 경우 입자가 크고 MDF의 경우 입자가 작다. 이로인해 입자가 작으면 강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입자가 크면 강도가 약하다는 것을 자연스레 알게된다.
즉, MDF가 강도가 높기 때문에 조립식 가구에 많이 사용되고 PB의 경우 가구의 뒷판이나 내구성과 관련이 없는곳에 대부준 사용된다.